- Window Server 10
- visualsvn server 5.1.1
- tortoisesvn 1.10.5
- Jenkins 2.361.2
- openjdk11.0.15.9-1
https://github.com/ojdkbuild/ojdkbuild
로컬PC에
오라클, 이클립스, SVN, tomcat, Jenkins를 모두 설치하고 테스트 한거라
실제 운영에서는 방식이 달라지겠지만.. 일단 자동으로 배포가 된다.
젠킨스가 1분마다 svn update를 확인하는데, 텍스트 하나 수정 후 commit하면
변경 확인하는데 1분, 젠킨스 워크스페이스에 반영하는데 2분, 톰캣아래 배포하는데 2분..이렇게 5분정도 걸린다.
또, 프로퍼티를 지금 3개 작성했는데 실제로 svn에 반영한 건 하나다.
환경에 따라 프로퍼티를 변경시키고 싶으면(자동으로..)
나도 더 해봐야 알겠지만.. 일단
<property name="locations">
<list>
...
를 써서 모든 프로퍼티를 넘긴 후에.. 젠킨스에서 옵션을 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svn연동하기 전에.. 설정파일은 반드시 빼고 올리자..
한번 꼬여서 새로 만들었다..
젠킨스 설정
톰캣 설정
..\Apache Software Foundation\Tomcat 8.5_Tomcat8_cide\conf\tomcat-users.xml
로컬에서 개발 후 svn에 올렸고
svn이 배포를 했어. 이걸 개발서버에 반영한거라고 치면..
이제 다시.. 운영에 올려야해..
https://www.theteams.kr/teams/6045/post/69805
젠킨스 사용하여 자동 배포환경 만들기! by 줌인터넷
(Git으로 형상관리가 되고 있는 Gradle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이 글이 작성되었습니다.) 개발환경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분리되어 있고, 여러 원격 서버를 가지고 있는 구성에서 어플리케이션을
www.theteams.kr
내가 하려는 이게..파이프라인인가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'-'
생각에는 ..
로컬 - svn - 젠킨스 - 개발서버 - 테스트완료
└ 운영서버배포
이렇게 2단계로 가면 될 것 같은데..
회사에서 원하는 건
로컬 - svn - 젠킨스 - 개발서버 - 테스트완료 - 개발서버의 코드를 운영서버에 배포...
이다..왜 이렇게 가야할까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그럼 svn에 개발서버의 코드를 따로 등록해야 하지 않을까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'-' 흠................일단 파이프라인 공부하고 와야겠다..
'프로그램설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10 + svn + Jenkins (4) - 젠킨스 svn연동 (다른 방법 시도 예정) (0) | 2022.10.24 |
---|---|
window10 + svn + Jenkins (3) - 젠킨스 설치 (0) | 2022.10.24 |
window10 + svn + Jenkins (2) - tortoiseSVN설치 / svn끼리 연동 (0) | 2022.10.24 |
window10 + svn + Jenkins (1) - openjdk설치 / 비주어svn설치 (0) | 2022.10.24 |
이클립스2020-06 | openjdk1.8 (1) (0) | 2022.01.07 |